신약/요한복음 74

요한복음 18 : 15~27

예수님을 부인하는 베드로 18:15~18위기 때 드러나는 신앙이 진짜 신앙입니다.베드로는 자신이 죽을지언정 결단코 예수님을 부인하지 않겠다고 맹세했습니다(마 26:35).그러나 실제 상황에서 문을 지키는 여종과 불을 쬐던 사람들이 그가 예수님의 제자임을 알아보자 베드로는 “나는 아니라.”라고 부인하고 맙니다.베드로에게 귀를 잘린 말고의 친척이 그가 겟세마네 동산에서 예수님과 함께 있는 것을 보았다고 하자,베드로는 세 번째로 저주하고 맹세하며 부인합니다(마 26:74).그러자 곧 닭이 웁니다(13:38).위기 앞에서 인간은 누구나 연약합니다.베드로처럼 무너지지 않기 위해서는 자만심을 버리고 겸손히 성령의 도우심을 구해야 합니다.위기 앞에서 베드로의 믿음은 어떻게 드러났나요?베드로의 믿음은 여러 위기 속에서..

신약/요한복음 2025.03.05

요한복음 18 : 1~14

군대를 데려온 가룟 유다 18:1~9배신자 가룟 유다가 예수님을 잡으러 옵니다.사탄에게 사로잡힌 그는 돈을 받고 무장한 로마 군인(200명에서 600명으로 추정)과 아랫사람들(성전 경비병)을 인도해 기드론 시내 건너편 겟세마네 동산으로 찾아옵니다.그곳은 예수님이 제자들과 가끔 오셨던 장소기에 유다도 알고 있었습니다.닥쳐올 일을 다 알고 계시는 예수님은 요동하지 않으십니다.‘나사렛 예수’를 찾는다는 그들의 말에 “내가 그니라.”(헬라어로 ‘에고 에이미’)라고 당당하게 신원을 밝히십니다.그리고 함께 있던 모든 제자를 자신으로부터 분리시키십니다.이는 하나님이 맡겨 주신 사람들 가운데 한 명도 잃지 않기 위함입니다.예수님은 위기에서 자기 사람들을 적극적으로 지키는 진정한 지도자이십니다.무장한 군대 앞에서 예수님..

신약/요한복음 2025.03.04

요한복음 17 : 20~26

하나 됨을 위한 간구 17:20~23예수님의 기도에는 제자들을 향한 소망이 잘 드러납니다.제자들은 잠시 흩어지겠지만(16:32), 성령을 받은 후에는 그들을 통해 믿는 자가 많아질 것입니다.그래서 예수님은 장래 믿게 될 이들까지 포함해 하나가 되게 해 달라고 기도하십니다(20~21절).여기서 하나 됨은 조직적 의미가 아닌 관계적 의미로, 사랑하고 섬기는 일에 하나 되는 것을 말합니다.아버지와 아들이 하나인 것처럼 말입니다(10:30).참소자인 사탄은 하나 됨을 방해하는 이간자입니다.세상은 이기심을 추구하게 해 사람들의 하나 됨을 방해합니다.이런 세상 속에서 믿는 자들의 하나 됨은 하나님의 사랑을 보여 주는 통로입니다(23절).하나 됨은 예수님과 예수님을 보내신 하나님을 삶으로 전하는 일입니다.예수님이 제..

신약/요한복음 2025.03.03

요한복음 17 : 9~19

제자들에 대한 기도에 드러나는 예수님의 마음은 어떠한가요?예수님께서 제자들을 위해 드린 기도를 보면, 그분의 마음은 사랑과 보호, 연합, 그리고 영원한 생명에 대한 간절한 소망으로 가득 차 있다.특히 요한복음 17장에서 예수님은 제자들을 위해 이렇게 기도하신다.“아버지께서 내게 주신 사람들에게 내가 아버지의 이름을 나타내었나이다. 그들은 아버지의 것이었는데 내게 주셨으며 그들은 아버지의 말씀을 지키었나이다.” (요한복음 17:6)“내가 비옵는 것은 저희를 세상에서 데려가시기를 위함이 아니요, 다만 악에 빠지지 않게 보전하시기를 위함이니이다.” (요한복음 17:15)예수님은 제자들이 하나님께 속한 자이며, 하나님께서 그들을 지켜주시기를 간절히 기도하셨다. 세상 속에서 고난을 겪을지라도, 하나님이 보호하시고..

신약/요한복음 2025.03.02

요한복음 17 : 1~8

예수님이 규정해 주신 영생의 정의는 무엇인가요?예수님께서 직접 영생의 정의를 말씀하신 구절은 요한복음 17장 3절에 나온다.“영생은 곧 유일하신 참 하나님과 그가 보내신 자 예수 그리스도를 아는 것이니이다.” (요한복음 17:3)이 말씀에서 예수님은 영생을 단순히 ‘끝없는 생명’으로 정의하지 않으시고, 하나님과 예수 그리스도를 아는 것으로 정의하셨다. 여기서 “안다”는 것은 단순한 지식이 아니라, 깊은 관계와 친밀함을 의미한다. 성경에서 “안다”라는 표현은 종종 인격적이고 친밀한 관계를 나타낸다(예: 창세기 4:1의 ‘아담이 하와를 알았다’는 표현).즉, 영생은 하나님과의 친밀한 교제를 통해 예수님을 깊이 알고, 그분 안에서 살아가는 삶을 뜻한다. 단순히 죽은 후 천국에 가는 것만이 아니라, 예수님을 믿..

신약/요한복음 2025.03.01

요한복음 16 : 25~33

보혜사가 오시면 16:25~30예수님은 보혜사가 오실 때 일어날 변화에 대해 말씀하십니다.첫째, 더는 상징적인 비유로 말씀하지 않으시고 진리의 성령을 통해 하나님에 대해 명확히 알려 주실 것입니다(25절).둘째, 제자들은 예수님 이름으로 직접 하나님께 간구할 것입니다(26절).예수님을 믿고 사랑하는 제자들을 하나님도 사랑하시기 때문입니다(27절).예수님은 자신이 아버지에게서 나와(신적 기원) 세상에 왔고(성육신), 다시 세상을 떠나(십자가 죽음) 아버지께로 간다고(부활, 승천) 진술하십니다(28절).제자들은 예수님이 하나님으로부터 나오신 것을 믿는다고 고백하지만(30절),예수님에 대한 그들의 이해와 고백은 불완전합니다.보혜사의 임재를 아직 경험하지 못했기 때문입니다.예수님은 자신의 전 존재를 어떻게 진술..

신약/요한복음 2025.02.28

요한복음 16 : 16~24

기쁨을 회복할 그날 16:16~22성도에게 근심은 잠깐이고 기쁨은 영원합니다.“조금 있으면 나를 보지 못하겠고 또 조금 있으면 나를 보리라.”라는 말이 세 번 반복됩니다(16~17, 19절).‘보지 못하겠고…보리라’에서 ‘보다’라는 동사는 서로 다른 헬라어를 사용해 미묘한 차이를 줍니다.전자의 ‘보다’(헬라어로 ‘테오레이테’)는 외적으로 보이는 것에 강조점이 있습니다.후자의 ‘보다’(헬라어로 ‘옵세스테’)는 내적 깨달음에 강조점이 있습니다.‘조금 있으면’ 제자들은 예수님의 죽음과 부활을 목격하고, 보혜사 성령이 오심으로 예수님의 존재를 깨닫게 될 것입니다.여자가 태어난 아기로 인해 해산의 고통을 잊고 기뻐하는 것처럼(21절),예수님을 다시 볼 때에 제자들은 기쁨을 회복할 것입니다(22절).성도의 기쁨은 ..

신약/요한복음 2025.02.27

요한복음 16 : 1~15

예수님 말씀을 기억하라 16:1~6고난과 환난의 때에 실족하지 않고 승리하기 위해서는 말씀을 기억해야 합니다.예수님은 제자들에게 시련의 때가 오리라고 예고해 주십니다(2절).그들이 맞이하는 시련은 첫째, 출교입니다.예배를 드리고 신앙 교육을 받던 회당에서 쫓겨나는 것입니다.둘째, 죽음입니다. 스데반의 순교로 시작해 오늘날까지 수많은 성도가 순교했습니다.문제는 이런 악행을 저지르는 자들이 그 행위를 ‘하나님을 섬기는 일’로 생각한다는 점입니다.이는 하나님이 예수님을 통해 일하심을 알지 못하기 때문입니다(3절).무지한 핍박자들 앞에 굴복하지 않고 끝까지 믿음으로 승리하는 비결은예수님의 가르침을 기억하는 것입니다(4절).예수님은 믿음 때문에 시련이 찾아오면 어떻게 극복하라고 당부하셨나요?1. 끝까지 견디라"이..

신약/요한복음 2025.02.26

요한복음 15 : 18~27

세상이 미워하는 대상 15:18~25참빛을 거부한 세상은 그리스도인도 미워합니다(18절; 1:9~10).여기서 ‘미워하다’는 혐오하고 적대감을 가진다는 의미입니다.이에 해당하는 헬라어는 현재형으로, 세상으로부터 늘 미움을 받는다는 의미입니다.세상이 그리스도인을 미워하는 이유는첫째, 그가 세상에 속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19절). 그리스도인은 예수님께 속한 자로, 악한 세상의 지혜가 아닌 성결한 하늘의 지혜를 추구하며 삽니다(약 3:13~18).둘째, 세상이 예수님을 미워하기 때문입니다(18절). 이는 하나님을 미워하는 마음에서 비롯된 것이요(21, 23절) 시편 말씀의 성취입니다(25절; 시 69:4).예수님을 미워하는 세상은 그분의 종이요 친구인 그리스도인을 박해합니다.예수님이 세상에 오셔서 하나님 말..

신약/요한복음 2025.02.25

요한복음 15 : 9~17

사랑과 기쁨 15:9~12사랑과 순종은 불가분리의 관계입니다.예수님은 “나의 사랑 안에 거하라”(9절)라고 명하십니다.예수님의 계명을 지키는 것이 그분의 사랑 안에 머무는 길입니다.하나님의 사랑을 받으시는 예수님도 하나님의 계명을 지키셨고,영혼 구원을 위해 자기 목숨을 버리셨습니다(10:17~18).고난의 십자가 앞에서도 예수님은 제자들을 끝까지 사랑하셨습니다(13:1).예수님이 “서로 사랑하라.”라는 계명을 제자들에게 재차 말씀하시는 이유는 그분의 사랑과 기쁨이 그들 안에 충만하게 하려는 것입니다(11절).제자들이 그 사랑의 기쁨을 나누고, 그 사랑을 받은 사람들이 또 다른 이들에게 사랑을 전할 때 온 세상은 사랑의 기쁨으로 충만해집니다.사랑만이 미움과 갈등을 극복하게 합니다.예수님이 제자들에게 “서로..

신약/요한복음 2025.02.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