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자들을 향한 사랑 131~2 인류 구원을 위해 공생애를 시작하신 예수님은 그 일을 마무리하실 때가 다 가왔음을 아십니다. 이제 세상을 떠나 하나님 아버지께로 돌아갈 시간(1, 3 절), 즉 십자가에 못 박혀 죽을 때가 된 것입니다. 예수님은 동역하는 제자들 을 사랑하시되 끝까지 사랑하십니다. 여기서 '끝까지'(1절)는 시간적 의미와 질적 의미를 모두 내포하며, 죽는 순간까지 제자들을 극진히 사랑하셨음을 의미합니다. 이런 예수님의 사랑은 자신을 배반하고 팔아넘길 가룟 유다와 유월절 저녁 식사를 함께하시는 것에도 잘 드러납니다(11절). 예수님은 가룟 유다를 끝까지 품으심으로 "원수를 사랑하라." 하신 말씀의 본을 친히 보이 십니다(마 5:44).
아버지께로 돌아가실 때가 이른 줄 아시는 예수님은 제자들을 어떻게 대하 셨나요?
끝까지 사랑하심
예수님을 본받아 내가 끝까지 사랑할 이들은 누구인가요?
내가 만나는 모든 사람들
제자들의 발을 씻기심 13:3~11 예수님은 말로만이 아니라 행동으로 사랑을 보여 주십니다. 발을 씻기는 일 은 종이 하는 하찮은 일입니다. 그러나 예수님은 대야에 물을 떠다가 제자들 의 발을 손수 씻겨 주십니다. 스승의 행동을 이해하지 못한 베드로가 자신의 발은 절대로' 씻기지 못하신다고 말합니다(8절). 여기서 절대로'에 해당하는 헬라어의 본래 뜻은 '영원히'입니다. 예수님은 그를 씻기지 않으면 그가 예수 님 자신과 아무 사이가 아니라고 하십니다. 예수님이 발을 씻기신 것은 죄를 씻는 것과 관련됩니다. 예수님이 십자가 대속으로 우리의 모든 죄를 씻어 주 셨기에, 예수님을 믿는 사람은 날마다 자신의 허물을 고백하고 씻으면 됩니 다. 그러나 예수님을 배반하는 가룟 유다는 죄 사함의 은혜 안에 들지 못합니 다.
예수님이 제자들의 발을 씻기신 것에는 어떤 의미가 있나요?
죄를 씻는 것과 관련, 모든 죄를 씻어주셨다.
예수님을 믿는 사람은 날마다 자신의 허물을 고백하고 씻으면 됩니다. 그러나 예수님을 배반하는 가룟 유다는 죄 사함의 은혜 안에 들지 못합니다.
나는 가족 혹은 이웃에게 어떤 행동으로 사랑을 표현할지 생각해 보고 실천하세요.
하나님은 단순히 감정적인 사랑이 아니라, 행동하는 사랑을 요구하신다.
- 이해하려고 노력하는 것 (경청과 공감) • 상대방의 입장에서 생각해보기. • 왜 그렇게 행동하는지, 어떤 상처와 배경이 있는지 경청하고 공감하는 것이 사랑이다. • 가족이나 친구가 힘들어할 때 그저 들어주고 공감하는 것만으로도 큰 사랑이 된다.
- 기대하지 않고 먼저 베푸는 것 • 사랑은 기대하는 것이 아니라, 주는 것이다. • 부모님이나 가족에게, 내가 원하는 반응을 기대하지 않고 먼저 잘해주는 것이 사랑이다. • 먼저 예수님처럼 사랑하는 것이 사랑이다.
- 화를 내기 전에 기도하는 것 • 화를 내기 전에 먼저 기도하는 것 자체가 사랑이다. • 예수님도 우리에게 화내기 전에 먼저 오래 참으셨다. • 싸울 것 같은 순간에 먼저 기도하고, 먼저 한 걸음 물러나는 것이 사랑이다.
- 작은 것이라도 희생하는 것 • 예수님은 우리를 위해 목숨까지 내어주셨다. • 그렇다면 우리는 작은 것이라도 희생할 수 있어야 한다. • 가족이 먹고 싶은 음식을 사다 주거나, • 친구가 어려울 때 먼저 손 내밀거나, • 화를 내더라도 한 번 더 이해하고 넘어가거나, • 작은 희생이 쌓일 때, 그것이 진짜 사랑이 된다.
사랑은 감정이 아니라 행동이다.
예수님을 닮아가기 위해, 오늘 하루라도 한 가지 사랑을 실천해보라. 그 작은 행동 하나가 결국 나를 변화시키고, 내 주변 사람들을 변화시킬 것이다.
기도
하나님 아버지 감사합니다.
오늘도 큰 깨달음 주셔서 감사합니다.
하나님께서는 역시 역사하십니다.
지금도 내 옆에 계십니다.
결코 포기하지 아니하시는 하나님,
이제 내가 어떻게 살아가야할지 알게해주시는 하나님
당신의 길을 무조건 따르겠습니다.
믿음 없는 미련한 자 되지 않도록 도와주소서.
예수님의 이름으로 기도합니다. 아멘.
'신약 > 요한복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요한복음 13 : 21~30 (1) | 2025.02.18 |
---|---|
요한복음 13 : 12~20 (0) | 2025.02.17 |
요한복음 12 : 37~50 (1) | 2025.02.15 |
요한복음 12 : 20~36 (1) | 2025.02.14 |
요한복음 12 : 12~19 (2) | 2025.02.13 |